2025 |
효과적인 욕창예방활동을 통한 욕창발생률 감소 활동 |
간호부 QI위원회 |
2025 |
마취약물 투약과오 방지를 위한 활동 |
회복실, 마취통증의학과 |
2025 |
손위생 수행률 향상을 통한 다제내성균(MRAB) 분리율 감소 활동 |
ECU, ICU1, ICU2, 감염관리팀 |
2025 |
관리시스템 표준화를 통한 마약류 안전관리 활동 |
간호부 업무향상위원회, QI팀, 약제팀 |
2025 |
효과적인 낙상위험군 선별, 관리를 통한 낙상예방활동 |
간호부 외래팀 |
2025 |
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병상 가동률 향상 활동 |
83W,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|
2025 |
간이식 환자간호 매뉴얼 개발 및 활용을 통한 간호역량 강화 |
67W, GS, 장기이식센터 |
2025 |
응급실 환자경험 향상 활동 |
응급실 |
2025 |
진료지원전담간호사(PA2)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|
PA2, 진료운영팀 |
2025 |
진료지원전담간호사(PA1)-담당간호사 간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내부만족도 향상 활동 |
PA1, 76W, 77W, 86W, 87W, 102W |
2025 |
낙상없는 안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만들기 |
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|
2025 |
인슐린 투약사고 소탕작전 |
간호부 연구위원회, 약제팀 |
2025 |
수술실 간호사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|
수술실 |
2024 |
효과적인 욕창 예방활동을 통한 욕창 발생률 감소 |
간호부 QI 위원회 |
2024 |
혈액투석 환자의 Ca X P 충족률 향상 |
인공신장실 |
2024 |
진료지연 설명강화를 통한 환자만족도 향상 |
간호부 외래팀 |
2024 |
비골 및 안와 골절 수술 후 환자교육자료 개발 및 적용 |
86병동 |
2024 |
부서원들의 유대감 증진 활동을 통한 직원만족도 향상 |
82병동 |
2024 |
소아환자 검사 및 처치 오류 감소 활동 |
76병동 |
2024 |
병동업무 매뉴얼 개발을 통한 간호사 업무수행능력 향상 |
72병동 |
2024 |
신 이식 환자간호 매뉴얼 개발 및 활용을 통한 간호역량 강화 |
67병동 |
2024 |
다제내성균(MRAB) 분리율 감소 활동 |
응급중환자실, 제1중환자실, 제2중환자실 |
2024 |
CCDS 적용을 통한 수술처치재료 누락 예방 활동 |
수술실 |
2024 |
표준화된 모아관리 시스템 적용을 통한 모자동실 활성화 |
분만실 |
2024 |
응급실 환자경험 향상 활동 |
응급실 |
2024 |
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환자의 정확한 중증도, 간호필요도 관리 활동 |
56병동, 66병동, 101병동 |
2024 |
마취약물 투약과오 방지를 위한 활동 |
회복실 |
2023 |
설명, 안내 강화를 통한 환자경험 향상 |
외래팀 |
2023 |
손위생 수행률 향상 |
응급중환자실, 내/외과계 중환자실 |
2023 |
투석 후 퇴실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적용 |
인공신장실 |
2023 |
Home ventilator 매뉴얼 개발 및 적용 |
87병동, 96병동, 102병동 |
2023 |
신규 및 전입간호사 업무적응지원 개선활동 |
57병동, 86병동 |
2023 |
부서 간 인수인계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간호업무 효율성 증진 |
101병동 |
2023 |
수술 교육의 표준화를 통한 환자만족도 향상 |
97병동 |
2023 |
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내 안전사고 예방활동 |
83병동 |
2023 |
욕창 예방활동 |
77병동 |
2023 |
암환자 수술 전, 후 교육을 통한 만족도 향상 |
67병동 |
2023 |
검체오류 예방활동을 통한 재채혈 감소 |
61병동, 66병동 |
2023 |
투약오류 예방활동 |
62병동, 76병동 |
2023 |
환자경험 향상 활동 |
간호부 |
2023 |
마취약물 투약 과오 방지를 위한 활동 |
회복실 |
2023 |
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 및 보호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활동 |
응급실 |
2023 |
수술환자 계수 오류 감소 활동 |
수술실 |
2023 |
의료진 간 정확한 의사소통을 통한 환자안전 향상 활동 |
응급중환자실, 내/외과계 중환자실 |
2023 |
표준화된 신생아 관리 시스템 적용을 통한 모자동실 활성화 |
분만실 |
2022 |
안전한 수술환경 만들기 (피부통합성 유지 활동) |
수술실 |
2022 |
입원환자 욕창예방간호를 통한 욕창 발생률 감소 |
응급중환자실 |
2022 |
조직문화 개선을 통한 신규간호사 사직률 감소 활동 |
내과계 중환자실, 외과계 중환자실 |
2022 |
표준화된 병실순회지침을 통한 낙상 및 욕창발생 감소활동 |
56병동, 57병동, 66병동 |
2022 |
간호업무 시간 단축 및 존중문화 만들기를 통한 사직률 감소 활동 |
61병동, 62병동 |
2022 |
암환자(대장암, 위암) 수술 전, 후 교육활동을 통한 만족도 향상 |
67병동 |
2022 |
COVID-19 병동 입원환자 및 보호자 만족도 향상 활동 |
71병동 |
2022 |
의무기록 누락 방지 활동 |
102병동 |
2022 |
안전한 정맥주사 관리를 통한 환자안전사고 예방 활동 |
77병동 |
2022 |
입원생활안내 동영상 제작을 통한 환자만족도 향상 |
86병동, 87병동 |
2022 |
병동 교육, 훈련 매뉴얼 개발을 통한 간호업무 질 향상 |
96병동, 97병동 |
2022 |
마취약물 투약 과오 방지를 위한 활동 |
회복실 |
2022 |
극소미숙아 분만 시 성공적인 조기 처치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|
신생아실 |
2022 |
감동분만을 위한 서비스 개선을 통한 분만만족도 향상 |
분만실 |
2022 |
응대서비스 개선을 통한 환자경험 향상 |
외래팀 |
2022 |
설명강화 활동을 통한 응급실 고객만족도 향상 |
응급실 |
2021 |
안전한 수술환경 만들기 (피부통합성 유지 활동) |
수술실 |
2021 |
비처방성 진료재료 절약활동 |
간호부&관재팀 |
2021 |
말초정맥 주사요법으로 인한 정맥염 발생 감소 활동 |
52,72병동 |
2021 |
소독 후 처치처방 누락 방지 개선활동 |
61병동 |
2021 |
표준화된 병실 순회지침 개발, 적용에 따른 업무 효율성 향상 |
62병동 |
2021 |
안전한 항암제 투여를 위한 이중확인 수행 향상 활동 |
71병동 |
2021 |
간호간병 서비스 병동 환자의 입원생활안내를 위한 동영상 제작 및 환자만족도 향상 효과 |
51,53,55,81병동 |
2021 |
욕창 예방활동 |
53,82병동 |
2021 |
응급실 상담간호사 활동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응급실 |
2021 |
마취약물 투약 과오 방지를 위한 활동 |
회복실 |
2021 |
분만기록지 개발, 적용을 통한 기록누락 방지활동 |
분만실 |
2021 |
맞이 응대태도 개선을 통한 환자만족도 향상 |
외래간호팀 |
2021 |
비치 의약품 관리 개선을 통한 불필요한 응급처방(약물)감소 활동 |
92병동 |
2021 |
환자 참여를 통한 환자안전 개선활동 |
91, 102병동 |
2020 |
안전한 항암제 투여를 위한 이중확인 수행 향상 활동 |
71병동 |
2020 |
'"주도적 자율학습" 교육 참여 활성화 |
102병동 |
2020 |
입원 병동 환경 개선 활동 (청소, 소음, 방문객관리 중심) |
52/53/55/71/72/81병동 |
2020 |
고위험 투약관리 개선을 통한 환자안전 향상 활동 |
51/53/81/82병동,주사실 |
2020 |
낙상 없는 병동만들기(落無樂上) |
92/102병동 |
2020 |
마취약물 투약과오 예방 활동 |
회복실 |
2020 |
안과 진료 환자의 외래여정 개선활동 |
외래 안과 |
2020 |
경장영양환자의 안전한 경구약물 처방확인 활동 |
중환자실 |
2020 |
안전한 수술환경 만들기 (피부통합성유지활동) |
수술실 |
2020 |
의료기기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업무 효율성 향상 |
61/62병동 |
2019 |
간호·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입원 경험 환자의 입원 만족도 향상 활동 |
51병동 |
2019 |
(소아) 정맥주사 관리 프로토콜 적용을 통한 말초혈관염 감소활동 |
52병동 |
2019 |
(성인) 정맥주사 관리 프로토콜 적용을 통한 말초혈관염 감소활동 |
53병동 |
2019 |
환자공감 증진을 통한 고객 만족도 증가 |
61/71병동 |
2019 |
환자중심 간호서비스 제공을 통한 환자경험 향상 "환자중심 퇴원교육" |
55/72/91병동 |
2019 |
간호업무개선 활동을 통한 초과근무없는 병동 만들기 |
81/82병동 |
2019 |
정신의학과 병동 내에서의 위해도구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 활동 |
83병동 |
2019 |
낙상없는 병동 만들기 |
92/102병동 |
2019 |
의료기기 교육을 통한 간호업무 능력 향상활동 |
101/62병동, 의공팀 |
2019 |
CLABSI 예방 활동을 통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활동 |
신생아중환자실 |
2019 |
마취약물 투약 과오 방지를 위한 활동 |
회복실 |
2019 |
안전한 수술환경 만들기 (피부통합성 유지 활동) |
수술실 |
2019 |
고위험 임산부를 위한 정보제공 활동 및 교육강화를 통한 환자경험 향상 |
분만실 |
2019 |
마약관리 시스템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성 향상 활동 |
소화기내시경실 |
2019 |
항암치료환자의 외래여정 개선 활동 |
주사실,약제팀 |
2019 |
응급실 내원환자의 여정관리활동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권역응급의료센터 |
2018 |
전화로 정확하게 보고되는 검사결과(CVR)에 대한 신속한 보고율 향상 |
간호부 |
2018 |
감염 예방을 위한 안전 주사실무 지침 준수 활동 |
51병동 |
2018 |
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5-Right 준수 향상 활동 |
52병동 |
2018 |
안전한 항암제(주사) 투여를 위한 이중 확인 수행률 향상 |
53병동 |
2018 |
응급환자 전용 병상의 적절 운용 |
55병동 |
2018 |
정확한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확인을 통한 수술실 입실지연 예방활동 |
61병동 |
2018 |
정확한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확인을 통한 수술실 입실지연 예방활동 |
62병동 |
2018 |
대장암 수술환자의 적정성 평가를 통한 환자안전 관리와 의료 질 향상 |
71병동 |
2018 |
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5-Right 준수 향상 활동 |
72병동 |
2018 |
시술 환자 [ Care plan ] 작성율 관리를 통한 간호기록 완결도 향상 |
81병동 |
2018 |
퇴원환자 기록 점검을 통한 간호기록 완결도 향상 |
82병동 |
2018 |
정신건강의학과 병동 내에서의 위해도구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 |
83병동 |
2018 |
안전한 환자 수술을 위한 정확한 수술부위 표식 감시 활동 |
91병동 |
2018 |
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5-Right 준수 향상 활동 |
92병동 |
2018 |
폐렴 환자의 의료 질 향상 |
101병동 |
2018 |
뇌졸중 환자의 의료 질 향상 |
102병동 |
2018 |
응급실 내원환자의 재실시간 관리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응급실 |
2018 |
기계적 환기를 요하는 환자의 입실관리를 통한 간호 질 향상 |
내과계중환자실 |
2018 |
욕창예방을 위한 Checklist 개발과 활용을 통한 욕창 발생률 감소 |
외과계중환자실 |
2018 |
응급환자 전용 병상의 적절 운용 |
응급중환자실1,2 |
2018 |
수술 계수 오류 발생률 제로화 |
수술실 |
2018 |
수술방 입실 전 수술부위 표식 및 표식 확인서 작성 감시 활동 |
회복실 |
2018 |
고위험 임산부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로 환자 만족도 향상 |
분만실 |
2018 |
CLABSI 예방활동을 통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 |
신생아실 |
2018 |
가정간호 기반 욕창 예방을 위한 개선 활동 |
가정간호센터 |
2018 |
멸균물품의 효율적 관리 |
중앙공급실 |
2018 |
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|
인공신장실 |
2018 |
위내시경, 대장내시경 후 합병증 발생율 (천공, 출혈) 감소 |
소화기내시경실 |
2018 |
Bronchoscopy 후 Complication 발생율 감소 |
기관지내시경실 |
2018 |
환자 진료여정 관리를 통한 환자경험 질 향상 |
외래 |
2018 |
투약 오류 제로화 |
주사실 |
2017 |
전화로 정확하게 보고되는 검사결과(CVR)에 대한 신속한 보고율 향상 |
간호부 |
2017 |
자궁적출술과 제왕절개술의 예방적항생제 사용량의 적정관리 |
51병동 |
2017 |
정확한 5Right를 통한 투약사고의 ZERO화 |
52병동 |
2017 |
항암 주사제 전산처방 및 조제의뢰서 이중 확인율 향상 |
53병동 |
2017 |
응급환자 전용 병상의 적절 운용 |
55병동 |
2017 |
수술 전 환자 준비 상태 완결도 향상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 |
61병동 |
2017 |
수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 |
62병동 |
2017 |
대장암 수술환자의 적정성 평가를 통한 환자안전 관리와 의료 질 향상 |
71병동 |
2017 |
정확한 5-Right 수행을 통한 안전(투약)사고 예방 |
72병동 |
2017 |
시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표의 정확한 작성률을 통한 |
81병동 |
2017 |
환자안전사고 발생 위헝성 감소 |
2017 |
퇴원환자 기록 점검을 통한 의무기록 완결도 향상 |
82병동 |
2017 |
억제대 적용환자의 피부손상 발생률 감소 |
83병동 |
2017 |
정확한 수술부위 표식 시행율 향상 |
91병동 |
2017 |
정확한 5-Right 수행률 향상 |
92병동 |
2017 |
폐렴 환자의 의료 질 향상 |
101병동 |
2017 |
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의료 질 향상 |
102병동 |
2017 |
응급실 내원환자의 재실시간 관리(3시간이내)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응급실 |
2017 |
중환자실 입실환자의 간호의 질 향상 |
내과계중환자실 |
2017 |
응급환자 전용 병상의 적절 운용 |
응급중환자실1 |
2017 |
응급환자 전용 병상의 적절 운용 |
응급중환자실2 |
2017 |
수술 계수 오류 발생률(Surgical counts failures incidence rate)제로화 |
수술실 |
2017 |
정확한 수술부위 표식 시행율 향상 |
회복실 |
2017 |
다양한 매체 활용 퇴원교육으로 환자 만족도 증가 |
분만실 |
2017 |
신생아실내의 투약오류 개선 |
신생아실 |
2017 |
가정간호 진행 환자의 낙상 발생율 감소 |
가정간호 |
2017 |
멸균물품의 효율적 관리 |
중앙공급실 |
2017 |
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|
인공신장실 |
2017 |
위내시경, 대장내시경 후 합병증 발생율 (천공, 출혈) 감소 |
소화기내시경실 |
2017 |
Bronchoscopy 후 Complication 발생율 감소 |
기관지내시경실 |
2017 |
외래 예약 부도율 감소를 통한 환자만족도 향상 |
외래 |
2017 |
주사제 처방 오류 발생률 감소 |
주사실 |
2016 |
전화로 보고되는 검사결과(CVR)에 대한 신속한 보고율 향상 |
간호부 |
2016 |
자궁적출술과 제왕절개술의 예방적항생제 사용량의 적정관리 |
51병동 |
2016 |
정확한 5Right 수행률 향상 |
52병동 |
2016 |
항암 주사제 전산처방 및 조제의뢰서 이중 확인율 향상 |
53병동 |
2016 |
수술 전 환자 준비 상태 완결도 상승 |
61병동 |
2016 |
수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 완결도 상승 |
62병동 |
2016 |
대장암 수술환자의 적정성 평가를 통한 진료의 질적 수준 향상 |
71병동 |
2016 |
정확한 5-Right 수행으로 환자 안전의 위험성 감소 |
72병동 |
2016 |
시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표의 정확한 작성률을 통한 환자안전사고 발생율 감소 |
81병동 |
2016 |
퇴원환자 기록 점검을 통한 의무기록 완결도 향상 |
82병동 |
2016 |
억제대 적용환자의 피부손상 발생률 감소 |
83병동 |
2016 |
정확한 수술부위 표식 시행율 확인을 통한 환자안전 위험성 경감 |
91병동 |
2016 |
정확한 5-Right 수행을 통한 환자안전 위험성 감소 |
92병동 |
2016 |
Pnemonia 환자의 의료 질 향상 |
101병동 |
2016 |
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의료 질 향상 |
102병동 |
2016 |
응급실 내원환자의 재실시간 관리(3시간이내)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응급실 |
2016 |
멸균물품의 효율적 관리 |
중앙공급실 |
2016 |
외래 예약 부도율 감소 |
외래 |
2016 |
제왕절개 산모의 유방울혈 발생률 감소 |
분만실 |
2016 |
Rota virus의 원내 감염 예방을 통한 질적 수준 향상 |
신생아실 |
2016 |
내과계:중환자실 입실환자의 관리 및 향상 |
중환자실 |
2016 |
외과계:전신마취 후 ICU 입실 환자의 PAR score 완결율 향상 |
2016 |
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|
인공신장실 |
2016 |
위내시경, 대장내시경 후 Complication 발생률 감소 |
소화기내시경실 |
2016 |
Bronchoscopy 후 Complication 발생율 감소 |
기관지내시경실 |
2016 |
주사제 처방 오류 발생률 감소 |
주사실 |
2016 |
수술 계수 오류 발생률(Surgical counts failures incidence rate)감소 |
수술실 |
2016 |
정확한 수술부위 표식 시행율 향상 |
회복실 |
2015 |
전화로 정확하게 보고되는 검사결과에 대한 신속보고율 |
간호부 |
2015 |
산부인과의 자궁적출술, 제왕절개술 예방적항생제 관리 |
51병동 |
2015 |
소아 진정요법 시행 환자의 진정 후 환자 평가 적정 수행율 |
52병동 |
2015 |
항암 주사제 전산처방 및 조제의뢰서 이중 확인율 |
53병동 |
2015 |
수술전 환자 준비상태 완결도 |
61병동 |
2015 |
수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 완결도 |
62병동 |
2015 |
대장암 지표 관리 |
71병동 |
2015 |
TFCA 시술 전 처치 누락률 |
72병동 |
2015 |
시술전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표의 정확한 작성율 |
81병동 |
2015 |
간호활동 시행 후 정확한 간호활동기록 작성률 |
82병동 |
2015 |
억제대 적용환자의 피부손상 발생률 |
83병동 |
2015 |
정확한 수술부위 표식 시행율 |
91병동 |
2015 |
정확한 5 Right 수행율 |
92병동 |
2015 |
폐렴 지표 관리 |
101병동 |
2015 |
뇌졸중 지표관리, AMI 지표관리 |
102병동 |
2015 |
응급실 내원환자의 재실시간 3시간이내 준수율 |
응급실 |
2015 |
멸균물품의 유효기간 준수율 |
중앙공급실 |
2015 |
외래예약부도율 및 해피콜 시행 후 내원율 |
외래 |
2015 |
Elective delivery 비율(자연분만/제왕절개) |
분만실 |
2015 |
Cesarean section 비율 |
2015 |
Oxytocin Augmentation bundle 준수율 |
2015 |
Oxytocin Elective Indection Bundle 준수율 |
2015 |
Vaccum Bundle 준수율 |
2015 |
완전모유수유율 |
신생아실 |
2015 |
중환자부문 지표 |
중환자실 |
2015 |
혈액투석환자 지표 관리 |
인공신장실 |
2015 |
위내시경, 대장내시경후 Complication 발생률 |
내시경실 |
2015 |
기관지내시경후 complication 발생율 |
기관지내시경실 |
2015 |
항암제 처방 오류 발생율 |
주사실 |
2014 |
전화로 정확하게 보고되는 검사결과에 대한 신속보고율 |
간호부 |
2014 |
산부인과의 자궁적출술, 제왕절개술 예방적항생제 관리 |
51병동 |
2014 |
소아 진정요법 시행 환자의 진정 후 환자 평가 적정 수행율 |
52병동 |
2014 |
항암 주사제 전산처방 및 조제의뢰서 이중 확인율 |
53병동 |
2014 |
수술전 환자 준비상태 완결도 |
61병동 |
2014 |
수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 완결도 |
62병동 |
2014 |
대장암 지표 관리 |
71병동 |
2014 |
TFCA 시술 전 처치 누락률 |
72병동 |
2014 |
시술전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표의 정확한 작성율 |
81병동 |
2014 |
간호활동 시행 후 정확한 간호활동기록 작성률 |
82병동 |
2014 |
억제대 적용환자의 피부손상 발생률 |
83병동 |
2014 |
정확한 수술부위 표식 시행율 |
91병동 |
2014 |
정확한 5 Right 수행율 |
92병동 |
2014 |
폐렴 지표 관리 |
101병동 |
2014 |
뇌졸중 지표관리, AMI 지표관리 |
102병동 |
2014 |
응급실 내원환자의 재실시간 3시간이내 준수율 |
응급실 |
2014 |
멸균물품의 유효기간 준수율 |
중앙공급실 |
2014 |
외래예약부도율 및 해피콜 시행 후 내원율 |
외래 |
2014 |
Elective delivery 비율(자연분만/제왕절개) |
분만실 |
2014 |
Cesarean section 비율 |
2014 |
Oxytocin Augmentation bundle 준수율 |
2014 |
Oxytocin Elective Indection Bundle 준수율 |
2014 |
Vaccum Bundle 준수율 |
2014 |
완전모유수유율 |
신생아실 |
2014 |
중환자부문 지표 |
중환자실 |
2014 |
혈액투석환자 지표 관리 |
인공신장실 |
2014 |
위내시경, 대장내시경후 Complication 발생률 |
내시경실 |
2014 |
기관지내시경후 complication 발생율 |
기관지내시경실 |
2014 |
항암제 처방 오류 발생율 |
주사실 |
2013 |
자궁적출술과 복강경하 질식 자궁절제술 수술환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CP개발 |
51병동/외래 산부인과 |
낙상사례별 교육 자료 개발을 통한 낙상 발생률 감소 |
52병동 |
항암화학요법 관련 안전사고 발생예방을 위한 체크리스 개발 및 적용 |
53병동 |
수술교육자료 개발을 통한 설명 서비스 강화 |
61병동 |
방사성 요오드 치료 환자 입퇴원 교육 자료 개발 |
62병동 |
탈장교정술, 충수절제술, 치핵/치루 수술의 CP renewal |
71병동/외래 외과 |
대퇴동맥 경유 뇌혈관조영술(TFCA)의 CP개발 |
72병동 |
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의 자해사고 관련 안전관리 질 향상 |
83병동/외래 정신건강의학과 |
낙상예방활동의 증진방안 |
92병동 |
부서내 교육 소책자 개발을 통한 업무적응기간 단축 및 직무만족도 향상 |
101병동 |
직무역량강화를 위한 업무 매뉴얼 개발을 통한 간호 전문성 향상 |
102병동 |
편도 및 아데노이드 수술의 CP renewal |
91병동/외래 이비인후과 |
응급실 친절 매뉴얼 개발 |
응급실 |
효율적인 세트관리를 위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 |
중앙공급실 |
고객응대 매뉴얼 개발과 응대태도 개선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외래 |
미숙아를 위한 캥거루케어 프로토콜 개발 |
신생아실,분만실/외래소아청소년과 |
욕창 발생 감소 |
중환자실 |
투석환자의 효과적 교육을 위한 맞춤 교육책자 개발 |
인공투석실/외래 신장내과 |